해양 · 수산 연구의 핵심! 전남대학교 여수 공동실험실습관을 가다

ZEISS FE-SEM 및 Confocal 현미경 담당 최지성 연구원 인터뷰

탁 트인 바다와 남해의 정취를 느낄 수 있는 천혜의 자연을 갖춘 여수. 바다와 인접해 있어 각종 해양 산업이 발달되어 있고, 그 기반에는 첨단 연구 지원에 힘쓰고 있는 전남대학교 공동실험실습관의 다양한 첨단장비들이 제 몫을 톡톡히 해내고 있습니다. 최근 이 곳에 ZEISS 전자현미경과 컨포컬 현미경이 신규 도입되었다는 소식을 전해 듣고, 두 장비 모두 전담하고 계신 최지성 연구원을 만나 ZEISS 현미경을 활용한 연구생활 스토리를 좀 더 들어 보기로 했습니다.

ZEISS FE-SEM Sigma 500 장비 앞에서 분석 중인 전남대 공동실험실습관(여수) 연구원들

전남대학교 공동실험실습관의 간단한 소개 부탁드립니다.

바다와 인접해 있는 여수라는 지역 특성과 해양 수산 대학을 가지고 있다는 장점을 활용해 해양 시료 분석 등에 특화

안녕하세요. 저는 전남대학교 공동실험실습관(여수)에 소속되어 있는 최지성 연구원입니다. 전남대학교 공동실험실습관은 광주와 여수에 위치해 있고 광주 캠퍼스와 다른 점은 여수캠퍼스는 바다와 인접해 있는 여수라는 지역 특성과 해양 수산 대학을 가지고 있다는 장점을 활용해 해양 시료 분석 등에 특화되어 있고 이 외 재료 쪽 시료도 분석을 담당하고 있고요. 항상 최고의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ZEISS 현미경을 도입하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요?

고객 입장에서 신규 장비를 도입할 때 가장 신중하게 고려하는 부분은 아무래도 데모 시연이라고 생각해요. FE-SEM은 기존 장비의 노후화로 구매를 고려하고 있었는데, ZEISS에서 서울의 다양한 데모 사이트에서 시연을 진행해 장비가 내는 퍼포먼스에 크게 만족했어요. 사실 ZEISS 현미경을 처음 접한 건 조직병리학을 전공하면서 ZEISS TEM 장비를 보게 되면서부터인데요. 당시도 그랬고 지금도 바이오 현미경의 경우 ZEISS야 워낙 특화되어 있다는 건 이미 알려진 사실이라 첫 컨포컬 현미경을 고려할 때는 저희 쪽에서는 확신을 갖고 ZEISS LSM 900 with Airyscan 모델을 선택했던 것 같아요. (웃음)

ZEISS Sigma 500 장비를 담당하고 있는 전남대 공동실험실습관 (여수) 최지성 연구원

ZEISS 현미경을 직접 사용해보니 어떠신지 말씀해 주시겠어요?

신규 도입 FE-SEM 활용해 저가속 전압 및 고해상도 이미징 구현

우선 연구자 입장에서는 편의성이 굉장히 높은 장비라고 생각해요. 이론 1시간 실습 1시간 시간만 투자해도 누구나 쉽게 장비를 활용할 수 있을 만큼 직관적이고 편리한 장비죠.

FE-SEM의 경우, 저가속 전압을 활용한 이미징, 디텍터, 빔부스터 등 특화된 기술력이 돋보여요. 한 번은 저에게 의뢰를 맡기신 연구자분이 스탠다드 시료를 가지고 오셨었는데 기대한 것보다 더 많은 시료 정보들을 얻을 수 있어서 만족하며 가셨어요. 역으로 시료를 맡겨 주시는 고객분들의 피드백을 들어보면 ZEISS 현미경을 비롯해 높아진 장비 기술력을 실감하게 됩니다. 또 요즘에는 바이러스나 세균의 핵을 보려면 투과해서 관찰해야 하는데 여기에 FE-SEM의 aSTEM 옵션이 매력적인 것 같아요. 저가속 전압에서 선명한 고해상도 이미지를 낼 수 있는 aSTEM 옵션을 저는 개인적으로 유저분들이 많이 활용해 주셨으면 하는 바램이 있네요.

LSM 9 시리즈 최초 지역 도입, 최상의 초고해상도 이미징 및 분석 장비 구축

Confocal의 경우, 현미경에 시료만 올려놓고 분석 시스템을 활용하면 쉽고 빠르게 결과를 얻듯이 요즘엔 워낙 이미지 분석 기능이 발전되었다 보니 만족스러운 이미징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장비라고 생각해요. 그 중에서도 가장 크게 만족하고 있는 부분은 고해상도 이미징과 타일 이미징이에요. 예전에는 유저분들이 대면적 이미징을 내기 위해 경계선을 없애려고 포토샵을 이용하기도 했는데 이러한 번거로움을 LSM 900 with Airyscan에서는 한번에 타일 이미징으로 해결해 주니까요.

ZEISS 현미경은 편리한 유저 인터페이스와 업그레이드된 기술력으로 다양한 시도를 하시는 연구자분들로부터 만족도가 항상 높아요. 현미경을 좋아하는 한 사람으로서 FE-SEM 장비 하나 더 구매해서 담당하고 싶지만 업무 로드라고 모두 말리겠죠? (웃음)

FE-SEM과 Confocal 모두 담당하면서 두 장비를 연계해 사용해보신 적 있으신가요?

당장 지금은 아니더라도 추후 사용이 익숙해지면 단계적으로 사용하시길 권해 드리고 싶어요. 특히나 요즘 가장 이슈가 되고 있는 바이러스, 세균의 경우 FE-SEM aSTEM 기능으로 바이러스의 원인이 되는 핵 부분을 투과해서 촬영하고 LSM 900 with Airyscan을 이용해 대면적 고해상도 이미징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ZEISS LSM 900 with Airyscan을 담당하고 있는 최지성 연구원

ZEISS 현미경 솔루션 사업부에 바라는 점이 있다면?

요청사항에 항상 빠르게 대응해 주시는 것에 감사드려요. 어플리케이션이나 엔지니어분들의 경우, 교육이실 때도 있다 보니 가끔 즉각적인 대응이 어려울 때도 있으시더라고요. 온라인 원격 서비스가 활성화되어도 좋을 것 같고 사용자분들을 위한 상황별 장비 사용 가이드라인이 있다면 유저분들이 더 잘 활용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기관을 방문하시는 의뢰기관분들께 드리고 싶은 말씀이 있다면?

저희가 보유한 최신 장비로 다양한 퍼포먼스를 통해 원하는 결과를 보여드리고 싶어요.

저희 공동실험실습관에 의뢰해 주시는 고객분들에게는 항상 감사한 마음입니다. 저희가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최신 장비로 최고의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ZEISS 현미경을 사용하여 다양한 가속 전압으로 퍼포먼스를 내고 그 분들께 가장 원하는 결과를 보여드리고 싶어요. 또한 저희는 해양 수산 대학 기반의 공동실습실험관으로써 중금속, 원소 분석 등에 특화되어 있고, 전처리 의뢰도 맡고 있으니 이에 대한 의뢰도 가능하다는 점 알려드리고 싶습니다.

마지막으로 ZEISS란 연구원님께 어떤 의미일까요?

ZEISS란 저에게 '네트워크'라고 생각해요.

최근에 ZEISS 팀분들의 네트워크에 감동을 받은 적이 있는데요. 사용자 교육을 담당해 주셨던 어플리케이션 담당자분께서 병가를 내셨는데 운이 안 좋게도 그 날 정전이 나서 장비가 갑자기 꺼지는 바람에 크게 당황했던 적이 있어요. 

어떻게 해야 하나 걱정이 많았는데 병원에 계시는데도 친절하게 안내해 주시고, 이 외에도 ZEISS의 다른 담당자 두세분께서 돌아가며 전화를 주셔서 재확인 해주셨어요. 마지막에는 본사 고객센터에서 확인 전화까지, 정말 크게 감동받았습니다. 교육부터 서비스까지 항상 팀내 고객 케어 네트워크가 잘 되어 있다고 생각했어요. 앞으로도 많은 도움 부탁드립니다.

ZEISS LSM 900 with Airyscan이 새겨진 케이크 앞에서 웃어 보이는 최지성 연구원

전남대학교 공동실험실습관 소개

전남대학교 공동실험실습관은 고가의 첨단 연구기자재의 공동 관리 및 활용을 통한 수준 높은 연구지원과 교육기자재의 수리지원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광주캠퍼스와 여수캠퍼스에 각각 위치해 있으며, 각 캠퍼스의 연구 특성을 고려한 첨단 분석장비를 갖추어 교내 외 연구자들을 위한 분석 지원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향후 연구여건의 변화에 따른 최상의 연구 지원 업무를 위하여 발전계획을 수립, 보완하여 지속적인 발전을 지향하고 있으며, 항상 신뢰성 있는 분석 데이터를 제공하고 장비 운용의 수월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공동실험실습관의 모든 연구원들은 부단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문의: 061-659-6684

이메일: cjs1 41216 @gmail .com

문의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