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 보조 기구를 착용하지 않은 푸른 눈

눈의 구조

정시안(Emmetropia): 완벽하게 초점이 맞춰진 눈

정상 시력을 말하는 정시안의 경우, 사물에서 반사 또는 방출된 빛이 눈의 여러 기관을 지나 선명하고 뚜렷한 상을 맺습니다.

눈의 구성 요소

눈은 여러 다른 구성 요소들이 함께 유입된 시각 정보를 뇌로 전달하고 시력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통해 상을 형성하는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눈은 크게 전방부, 중심부, 후방부로 나뉘어질 수 있습니다.

  • 눈의 전방부

    1. 공막(Sclera):안구의 바깥쪽을 에워싼 흰자위 부분으로 눈의 구조를 지탱합니다.

    2. 각막(Cornea): 눈의 전방에 위치한 투명한 조직으로 빛을 받아 굴절시킵니다.

    3. 동공(Pupil): 홍채 중앙에 위치하며 빛이 통과하는 검은 구멍입니다.

    4. 홍채(Iris): 동공의 크기를 조절하여 안구 내부로 들어가는 빛의 양을 조절합니다.

    5. 결막(Conjunctiva): 공막의 앞부분을 싸고 있는 투명한 점막으로 바깥쪽 눈이 건강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합니다.

    눈의 바깥쪽에는 눈썹과 눈꺼풀이 있습니다. 보통 사람은 평균 1분에 약 12번 정도 눈을 깜빡여 눈의 수분을 유지합니다. 눈꺼풀과 속눈썹은 또한 먼지나 티끌 같은 이물질이 들어가 눈에 상처를 입히지 않도록 해 줍니다. 눈의 전방부에서 외부로 보이는 부분은 각막, 동공, 홍채, 공막, 결막입니다.

    각막은 눈 가장 앞쪽에 위치한 투명한 층으로 눈에 들어오는 빛을 굴곡시킵니다. 빛은 동공이라 불리는 동그란 구멍을 통해 눈의 중심부를 통과합니다. 눈에서 색깔을 띤 부분인 홍채는 동공의 크기를 변화시켜 들어오는 빛의 밝기를 조절합니다.

  • 눈의 중심부

    6. 자연수정체(Natural Lens):  홍채 뒤에 연결되어 있는 무색 투명한 구조로, 수정체라고도 불리며 빛을 받아 망막에 상이 맺히도록 합니다. 수정체는 눈이 여러 다른 거리에 있는 사물에 초점을 맞출 수 있도록 형태를 바꿀 수 있으며 이러한 능력을 조절력(accommodation)이라 합니다.

    7. 유리체(Vitreous Body): 내강(유리체강)을 채우고 있는 투명한 젤리 같은 조직입니다. 눈의 형태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동공을 통과한 빛은 수정체에 도달합니다. 동공은 눈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망막 이전까지 부분이 눈의 내부에 해당됩니다. 빛이 들어오면, 수정체는 눈과 물체의 거리에 따라 형태를 조정하여 빛이 안구의 뒷부분(망막)에 초점을 맞추도록 합니다. 수정체와 안구 뒷면 간의 공간을 유리체강(vitreous cavity)이라고 합니다.

  • 눈의 후방부

    8. 망막(Retina): 안구의 뒤쪽을 둘러싸고 있는 얇은 신경막입니다.

    9. 황반(Macula): 망막 주변에 있는 작은 주황색 영역으로 중심 시력을 담당하며 빛에 민감한 광수용체가 밀집되어 있습니다. 황반은 독서, 색깔 인지 등 정밀한 중심 시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 줍니다.

    10. 시신경(Optic nerve): 안구의 뒤쪽에 위치한 신경 섬유 다발로 망막에서 수렴된 시각 정보를 뇌로 전달합니다.

    망막은 안구의 뒷부분을 둘러싸고 있습니다. 망막은 유입되는 빛을 수렴하는 수백만 개의 광수용체로 구성됩니다. 광수용체는 빛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전기 신호는 시신경을 통해 뇌로 전달되며, 뇌는 신호를 처리해 상을 생성합니다.

    눈에는 안구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6개의 근육이 있으며 이를 외안근(extraocular muscle)이라고 합니다. 이는 신체에서 가장 활동적인 근육에 속하며, 고개를 돌리지 않고 두 눈만 동시에 움직일 수 있게 해 줍니다. 이 근육이 뇌와 협력해 수축하는 데는 채 0.01초가 걸리지 않기 때문에 눈은 움직이는 물체를 빠르게 추적할 수 있습니다.

눈의 기능

빛에서 시력으로
시력은 눈의 전방에서 들어온 빛을 굴절시켜 눈 가운데 있는 동공으로 보내는 각막에서 시작됩니다. 색채를 띠고 동공을 링처럼 둘러싸고 있는 홍채가 동공의 개폐를 조절하여 눈을 통과하는 빛의 양을 조절합니다. 동공을 통과한 빛은 수정체를 지나 눈의 뒤쪽으로 한층 더 굴절됩니다.

뇌로 시각 정보 전달
망막이라 불리는 얇은 막이 안구의 뒷부분을 덮고 있습니다. 망막은 디지털 카메라의 픽셀처럼 눈에 형성된 상을 감지하는 신경과 수백만 개의 광수용체로 구성됩니다. 이러한 신경세포들은 수렴된 정보를 시신경으로 보내고, 시신경은 이 정보를 다시 뇌로 보냅니다. 이 두 가지 기능이 제대로 수행되면, 뇌가 각 눈에 들어온 시각 정보를 합쳐 하나의 상으로 통합합니다.

완벽한 시력
완벽하게 초점이 맞는 정상 시력을 가진 눈을, '동등하게 측정됨'이라는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말인 정시안(emmetropia)이라고 합니다. 안구의 뒤쪽에 정확하게 빛의 초점을 맞추려면, 눈의 여러 다른 부분들의 비율이 일정해야 합니다. 수정체로 초점이 맞춰지는 곳이 어디냐에 따라 눈의 굴절력이 결정됩니다. 굴절력의 측정 단위는 디옵터(diopter, dpt)로, 정시안의 경우는 0 디옵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