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경을 쓰고 먼 곳을 바라보는 젊은 남성

근시안(Myopia)

먼 곳의 물체는 흐리게, 가까운 곳의 물체는 선명하게

근시가 있으면 먼 곳에 있는 물체는 흐리게 보이지만 가까운 곳에 있는 물체는 선명하게 보입니다. 근시는 눈에 들어온 빛이 망막에 정확하게 초점을 맞추지 못해 발생합니다. 보통 눈의 길이에 비해 각막의 굴곡이 너무 가파른 것이 원인입니다.  

멀리 있는 배경은 흐릿하게 보이지만 가까이 있는 축구공은 또렷하게 보이는 소년

가까이 있는 물체는 선명하게 보이지만 멀리 있는 물체는 초점이 어긋나 흐릿하게 보입니다.

근시란?

근시는 세계에서 가장 흔한 시력 증상입니다. 인구 중 절반이 넘는 사람이 근시인 곳도 있습니다. 근시는 안구의 지름에 비해 굴절력이 너무 강해 생깁니다. 다른 말로 하면, 눈의 굴절력이 너무 강해 빛이 망막까지 도달하기 전에 초점이 맞춰집니다.

시신경을 통해 이미지를 뇌로 보내는 망막에 제대로 초점이 맞춰지지 않기 때문에 먼 곳에 있는 물체가 흐리게 보입니다.

처방전과 굴곡력(도수)은 음수(-) 디옵터로 표시됩니다. 음수의 숫자가 클수록 굴곡 이상이 더 심각합니다. 근시가 심하면 몇 센티미터 거리의 물체만 선명하게 보일 수도 있습니다. 심각하지 않은 경우는 몇 미터 정도까지 선명하게 보입니다.

눈으로 들어온 빛이 각막(1)과 수정체(2)에 의해 굴절되어 초점(3)이 망막 앞쪽에(4) 맺힙니다.

눈으로 들어온 빛이 각막(1)과 수정체(2)에 의해 굴절되어 초점(3)이 망막 앞쪽에(4) 맺힙니다.

근시의 원인

예방이 쉽지 않은 근시

근시는 보통 6~12세 사이에 시작됩니다. 유전적으로 부모 중 한 사람이 근시이거나 양쪽 부모가 모두 근시일 경우 자녀도 근시일 확률이 높습니다. 사람마다 차이는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10대 후반까지 정도가 점진적으로 심해집니다. 10대 후반이 되면 대개 굴절 이상의 심각도가 최고 수준에 이릅니다. 드문 경우 근시는 지속적으로 진행이 됩니다.

유전적으로 또는 급성장기에 발생하기 때문에 예방할 수는 없지만, 근시의 진행을 늦추는 연구가 현재 진행 중입니다. 

 

근시의 증상

근시의 일반적인 증상:

  • 눈의 피로로 인한 두통(예: TV 시청 또는 극장에서의 영화 감상)
  • 운전 중, 특히 야간에 원거리 초점이 어려움
  • 잦은 찡그림과 눈의 피로감 

근시가 심하면 망막 박리처럼 눈의 후방부에 보다 심각한 질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근시를 조기에 진단해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검안사나 안과 의사가 기본적인 시력 검사를 통해 이러한 시력 장애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근시는 안과적 증상으로 아주 심각하지 않는 한 해로운 질환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눈 자체는 건강하지만 시력 보조 기구가 필요합니다.

근시 교정 옵션

근시가 있는 경우, 시력을 교정할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안과 의사와 상담을 통해 어떤 방법이 적합한지 결정할 수 있습니다.

  • 안경은 시력을 개선할 수 있는 손쉬운 방법입니다. 도수가 들어간 안경은 빛이 눈으로 들어가는 각도를 조절하여 굴절 이상을 수정해 줍니다. 선호하는 스타일이나 예산에 따라 다양하게 안경테와 렌즈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 콘택트 렌즈 역시 안경과 같은 원리로 시력을 교정해 줍니다. 콘택트 렌즈는 소재(하드/소프트)나 착용 기간(일회용 또는 연속 착용)의 측면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콘택트 렌즈도 전혀 위험이 없지는 않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합니다.
  • 레이지 시력교정술은 근시 교정을 위한 또 다른 옵션입니다. 스마일, 라식PRK/라섹 모두 광범위한 굴절 이상을 치료합니다. 이러한 수술들은 성공률도 높습니다. 그러나 모든 수술과 마찬가지로, 위험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닙니다.
  • 인공수정체(IOL) 삽입술은 특정 근시 환자들을 위한 치료 옵션이 될 수 있습니다. 이는 수정체를 인공수정체로 교체하는 수술입니다. 인공수정체 삽입술은 백내장 치료를 위한 보편적인 수술입니다. 굴절 또는 수정체 교환은 백내장이 없는 환자를 치료하는 경우에는 굴절 수정체 교체술 또는 맑은 수정체 교환이라고도 합니다. 의사는 어떠한 유형의 인공수정체가 환자의 굴절 이상을 치료하는데 적합한 옵션인지 판단을 내릴 수 있습니다. 모든 수술과 마찬가지로, 위험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닙니다.
  • 유수정체 인공수정체(PIOL)는 시력 교정을 위한 굴절 수술에 사용되며 기존 수정체 이외에 추가로 삽입됩니다. 그러나 모든 다른 수술과 마찬가지로 위험이 전혀 없지는 않습니다.
어린 딸에게 책을 읽어주는 아버지

시력 보조 기구

안경 및 콘택트 렌즈를 착용하는 삶

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이 안경이나 콘택트 렌즈를 착용합니다. 많은 사람들에게 이는 최선의 방법일 수 있으며, 오늘날에는 광범위한 시력 요구사항에 맞는 다양한 안경 렌즈와 콘택트 렌즈가 나와 있습니다.

그러나 많은 이들이 안경이나 콘택트 렌즈를 착용하는데 불편함을 느끼며 시력 보조 기구가 일상생활에 지장을 준다고 생각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안경이나 콘택트 렌즈 없이 잘 볼 수 있길 원합니다. 레이저 시력교정술은 안경이나 콘택트 렌즈의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의사와의 상담을 통해 본인의 시력과 일상생활 패턴에 맞는 최고의 옵션을 결정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