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0
20/20은 시력을 나타냅니다. 시력 검사 결과가 20/20이라면, 한국에서의 시력 1.0에 해당하며 평균 시력으로 간주됩니다. 20/20은 20피트(약 6미터) 떨어진 거리에서 평균 시력을 가진 사람처럼 물체의 미세한 부분을 식별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20/20 이상의 시력도 가능하며, 최고 시력은 20/10, 한국 시력으로는 2.0입니다.
-
절삭(Ablation)
절삭은 엑시머레이저라 불리는 특수 레이저를 이용해 각막 조직을 정교하게 제거하는 것을 말합니다. PRK와 라식이 이 레이저를 사용해 각막의 형태를 재형성하여 굴절 이상을 교정합니다.
-
조절(Accommodation)
다양한 거리에서 이미지를 선명하게 볼 수 있도록 수정체의 초점력을 변화시키는 눈의 능력(굴절력)을 말합니다. 나이가 들면 수정체가 탄력성을 잃어 조절력이 떨어집니다.
-
난시(Astigmatism)
난시는 굴절력이 고르게 분산되지 않아 시야가 흐릿하고 이미지가 왜곡되어 보이는 증상입니다. 난시의 심각도는 경도 (0.25~0.75 디옵터), 중등도 (1.00~2.50 디옵터), 고도 (2.75~4.75 디옵터), 초고도 (5.00 디옵터 이상)로 나뉘어질 수 있습니다.
-
보호용 콘택트 렌즈(Bandage contact lens)
PRK/라섹 수술 후 또는 간혹 각막절편 생성 후에 눈을 보호하고 수술 부위가 빨리 잘 낫도록 하기 위해 착용하는 얇고 부드러운 콘택트 렌즈로 도수는 없습니다.
-
각막의 생체역학적 안정성(Biomechanical stability of the cornea)
각막의 탄력성과 힘을 말하며, 구조를 지탱하는 세포와 단백질 섬유의 행렬로 구성됩니다.
-
캡(Cap)
스마일(SMILE) 수술에서 생성 및 추출된 각막 실질조각(Lenticule) 위에 위치하는 각막 조직을 말합니다.
-
백내장(Cataract)
백내장은 수정체가 혼택해지는 증상으로, 한쪽 눈 또는 양쪽 눈의 시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백내장이 생기면 시야가 점차 흐려지고 실명할 수도 있습니다. 백내장은 보통 나이가 들면서 발생하지만 혼탁해진 수정체를 작은 인공 렌즈(인공수정체)로 교체하는 수술로 치료가 가능합니다.
-
'비백내장성' 수정체 교환술(Clear lens exchange)
수정체 교환술은 미세한 절개를 통해 수정체를 제거합니다. 제거된 자리에 작은 인공수정체를 삽입합니다. 이러한 수술은 눈에 백내장이 없어도 굴절 이상과 여러 가지 안과 질환을 교정하기 위해 시행될 수 있습니다.
-
결막(Conjunctiva)
눈꺼풀 안쪽과 안구의 흰자위 부분을 덮고 있는 얇은 점막(공막)으로, 눈을 보호하고 촉촉한 상태로 유지해 줍니다.
-
각막(Cornea)
안구 앞 부분의 투명한 막으로 홍채와 동공을 통해 눈으로 들어오는 빛을 굴절시킵니다. 눈 전체 굴절력의 3분의 2를 담당합니다.
-
각막 이식(Cornea Transplant)
손상된 각막을 기증 받은 건강한 각막으로 이식하는 수술입니다.
-
각막 확장증(Corneal ectasia)
확장증(Ectasia) 참조.
-
디옵터(Diopter, dpt)
눈이나 그 구성요소의 굴절력을 측정하는데 사용하는 단위입니다. 디옵터는 시력 이상의 수준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며, 0 디옵터는 굴절 이상이 없음을 의미합니다.
-
복시(Diplopia, double vision)
사물이 두 개로 보이는 것을 말합니다.
-
안구 건조증(Dry eye syndrome)
눈물 구성 성분의 균형이 맞지 않아 눈물이 제대로 생성되지 않거나 지나치게 빨리 증발하는 질환입니다. 안구 건조증으로 눈이 불편하거나 시야가 흐려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태는 레이저 시력교정술 후에 비교적 흔하게 나타나지만, 장시간 콘택트 렌즈를 착용하는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확장증(Ectasia, 각막 확장)
각막이 얇아지고 약해져서 서서히 앞으로 돌출해 원추 모양이 되는 질환입니다. 이러한 질환은 자연적으로 발생할 수도 있고(원추각막, keratoconus), 레이저 시력교정술 후에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
정시안(Emmetropia)
억지로 보려하고 노력하지 않는 편안한 상태에서 눈에 굴절 이상이 없음을 지칭하는 의학용어입니다. 눈이 망막의 한 점에 원거리 이미지의 초점을 정확하게 맞춥니다. 즉, 멀리 있는 사물을 보기 위해 안경을 쓸 필요가 없습니다.
-
각막상피(Epithelium)
각막의 가장 바깥쪽 층입니다.
-
엑시머 레이저(Excimer laser)
레이저 시력교정술에서 각막 조직을 절삭하는데 사용되는 자외선 레이저를 말합니다.
-
펨토초 레이저(Femtosecond laser)
초단 펄스 근적외선 레이저로 라식 수술에서 각막절편을 만드는데 사용되고, 또한 스마일(SMILE) 수술에서 사용됩니다. 매우 짧은 시간 동안 아주 정교하게 레이저를 조사하기 때문에, 주변 조직에 영향을 주지 않고 극소의 각막 조직을 정밀하게 절개할 수 있습니다.
-
각막절편(Flap)
라식 수술에서 엑시머 레이저를 사용해 눈의 표층을 절개한 후 옆으로 젖혀두는 얇은 각막 조직층으로 각막 실질에 접근하기 위해 만드는 일종의 절개창(뚜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초점(Focal point)
안구에서 굴절된 빛이 한데 모이는 지점을 말합니다. 정상적인 눈의 경우, 망막의 한점에 초점이 모입니다. 굴절 이상이 있는 경우, 초점이 망막의 앞쪽이나 뒤쪽에 위치합니다.
-
녹내장(Glaucoma)
녹내장은 눈의 시신경이 손상되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눈 속의 압력(안압)이 높아지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녹내장은 60세 이상에서 실명을 야기하는 주요 원인입니다. 그러나, 녹내장으로 인한 실명은 조기 치료로 예방이 가능합니다.
-
달무리 현상(Halo)
보통 야간에 빛 주변이 번져 방사형의 테두리가 보이는 현상을 말합니다.
-
흐릿한 시야(Haze)
흐릿한 시야는 PRK/라섹수술을 받은 후에 각막이 약간 혼탁해지거나 시야가 뿌옇게 흐려져 보이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회복 과정에서 나타나며, 보통 완전하게 회복이 되면 사라집니다. 드물게 안약을 처방 받거나 추가적인 시술이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
원시안(Hyperopia)
원시의 다른 말로, 각막이나 수정체의 굴절력이 충분하지 않아 먼거리에 있는 사물의 초점이 망막 뒤에 맺히는 현상입니다. 가까이에 있는 사물이 특히 흐리게 보입니다. 경도 원시의 범위는 일반적으로 +2.00 디옵터 이하, 중등도 원시는 +2.25~+5.00 디옵터, 고도 원시는 +5.00 디옵터 이상을 말합니다.
-
인공수정체(Intraocular lens, IOL)
백내장이나 특수 굴절 이상을 치료하기 위해 눈에 삽입하는 인공수정체입니다.
-
홍채(Iris)
색채를 띈 도넛 형태의 조직으로 각막과 수정체 사이에 위치합니다. 사람마다 색깔이 다르며, 우리가 흔히 말하는 눈 색깔은 홍채의 색깔을 의미합니다. 홍채는 동공의 크기를 변화시켜 눈으로 들어오는 빛의 양을 조절합니다.
-
레이저(Laser)
강렬한 에너지 광선을 조사하는 기구로, 굴절 교정술에서 조직을 절삭 또는 절개하는데 사용됩니다. 굴절 교정술에서는 적외선 또는 자외선 레이저가 사용될 수 있으며, 두 가지 레이저 모두 우리 눈에는 보이지 않습니다.
-
레이저 시력교정술(Laser eye surgery)
빛이 망막으로 올바르게 초점을 맺도록 각막을 깎아내어 굴절 이상을 교정하는 의학적 수술을 말합니다.
-
라섹(LASEK)
Laser Sub-Epithelial Keratomileusis의 약자입니다. 각막 상피를 임시로 벗겨낸 후 엑시머 레이저를 이용해 각막을 깎아내어 굴절 이상을 교정하는 수술입니다. 수술 후에는 상피를 교체하고 회복을 돕기 위해 보호용 콘택트 렌즈를 삽입합니다. 오늘날에는, 경도에서 중등도의 근시를 치료하는데 주로 사용됩니다.
-
라식(LASIK)
Laser In Situ Keratomileisis의 약자입니다. 근시, 원시 및 난시를 치료하는데 사용되는 레이저 시력교정술입니다. 의료기구나 펨토초 레이저로 각막절편을 만든 후 각막실질을 노출해 엑시머 레이저로 각막을 깎아냅니다.
-
자연수정체(Natural lens, 렌즈)
빛을 굴절시켜 망막에 상을 맺히게 하는 눈의 한 부분으로 홍채 뒤에 위치합니다. 수정체는 눈이 여러 다른 거리에 있는 사물에 초점을 맞출 수 있도록 형태를 바꿀 수 있습니다.
-
각막 실질조각(Lenticule)
스마일 수술 중에 펨토초 레이저를 사용해 작은 절개창을 만들고 교정량만큼 각막에서 분리해내는 작은 조각을 말합니다.
-
황반(Macula)
중심 시력을 담당하는 망막의 영역입니다. 광수용체가 가장 많이 밀집해 있는 곳이기 때문에 높은 시력과 색상 인지에 대단히 중요합니다.
-
미세각막 절삭기(Microkeratome)
기계적으로 날이 움직이는 초정밀 수술 도구로 라식 수술에서 각막절편을 생성하는데 사용됩니다.
-
근시안(Myopia)
근시의 다른 말로, 눈의 굴절력이 너무 강해 각막과 수정체에서 굴절된 빛이 망막의 앞쪽에 초점을 맞춥니다. 이 때문에 먼 곳에 있는 물체가 흐리게 보일 수 있습니다. 근시의 심각도는 디옵터(dpt)로 구분됩니다. <3 디옵터는 경도 근시, -3~-6 디옵터는 증등도 근시, > -6 디옵터는 고도 근시에 속합니다.
-
자연수정체(Natural lens)
수정체 섹션 참조.
-
안과 의사(Ophthalmologist)
의과대학을 졸합하고 수년간 눈의 질환에 대한 수술적 교육을 받은 의사를 말합니다.
-
시신경(Optic nerve)
시신경은 중추 신경계에 속하며 망막에서 뇌로 시각 정보를 전달합니다. 시신경이 뇌와 만나는 지점을 사각지대라고 합니다.
-
과교정(Overcorrection)
과교정은 교정 수술 후에도 굴절 이상이 남아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개인마다 수술 후 상처 회복 시기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또는 수술 시 조직을 지나치게 절삭해 발생합니다. 회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퇴행을 감안해 의도적으로 과교정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회복이 된 후에도 과교정 상태가 유지되면 추가 수술로 교정이 가능합니다.
-
노안(Presbyopia)
눈의 수정체가 탄력성을 잃어 가까운 곳의 물체가 잘 보이지 않게 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노안은 노화와 함께 찾아오며, 보통 돋보기가 필요합니다.
-
동공(Pupil)
홍채의 중앙에 위치한 구멍입니다. 동공은 모든 빛을 흡수해서 검정색으로 보이지만, 손전등으로 눈을 비추면 예외적으로 동공이 붉은 색으로 보입니다. 이는 망막에서 빛이 반사되기 때문인데, 많은 양의 빛이 망막에 닿으면 망막 뒤의 모세혈관에서 빛이 반사됩니다. 반사된 빛은 다시 눈 밖으로 나오게 되는데, 이 때 찍힌 사람의 눈동자는 원래의 검은색이 아니라 빨간색으로 나타납니다. 이는 동공에 있는 모세혈관이 찍히기 때문입니다. 동공은 크기를 변화시켜 눈에 들어오는 빛의 양을 조절하며, 사물을 선명하게 보기 위해 초점을 조절합니다.
-
굴절력(Refractive power)
수정체가 빛을 굴절시키는 힘을 말하며, 측정 단위는 디옵터(diopter)입니다.
-
굴절교정술(Refractive surgery)
굴절 이상을 교정하는 수술입니다. 제대로 초점을 맺을 수 있도록 각막을 연마합니다.
-
망막(Retina)
눈의 뒤쪽에 위치한 얇은 신경조직으로 광수용체 세포가 밀집해있습니다. 광수용체 세포들은 빛을 인식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시신경이 뇌로 이미지를 전달하도록 합니다.
-
망막 박리(Retinal detachment)
감각 신경 망막과 세포 조직의 망막 색소가 들뜨는 상태를 말합니다. 시력 저하와 실명을 방지하기 위해 즉각적으로 치료해야 합니다.
-
공막(Sclera)
홍채를 둘러싸고 있는 흰자위 부분으로 눈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
스마일(SMILE)
Small Incision Lenticule Extraction의 약자로, 근시와 난시 교정을 위한 최첨단 레이저 시력교정술입니다. 스마일 수술은 펨토초 레이저 기술을 이용해 각막실질(Lenticule)을 각막의 교정량 만큼만 절제해 분리해낼 수 있습니다. 즉, 각막절편(Flap)을 만들거나 각막 교정량을 조사해 태우지 않아 각막 상피를 안전하게 보존할 수 있습니다.
-
각막 실질(Stroma)
각막 두께의 약 90%를 차지하는 각막 내부 조직층입니다.
-
눈물막(Tear film)
각막을 건강하게 유지하고 좋은 시력에 도움을 주는 각막의 유체층입니다. 눈의 수분을 유지하여 눈을 깜빡이거나 움직일 때 뻑뻑하지 않게 해주며, 눈에 들어간 이물질과 화학물질을 씻어내어 염증을 방지해 줍니다. 레이저 시력교정술은 보통 눈물막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눈이 건조해질 수 있습니다.
-
저교정(Undercorrection)
저교정은 교정 수술 후에도 굴절 이상이 남아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개인마다 수술 후 상처 회복 시기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저교정은 보통 추가 수술로 수정이 가능합니다.
-
시력(Vision)
눈에 들어오는 빛을 볼 수 있도록 이미지로 전환하는 능력을 말합니다.
-
측정시력(Visual acuity)
시각의 뚜렷한 정도는 시력으로 표현될 수 있습니다. 시력은 눈이 사물의 형태와 세부적인 부분을 식별해낼 수 있는 능력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
시력 보조 기구(Visual aid)
안경이나 콘택트 렌즈처럼 시력을 교정해주는 기구를 말합니다.
-
유리체강(Vitreous cavity)
수정체 뒤의 공간을 말하며, 안구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투명한 젤리 같은 조직으로 채워져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