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시 관리​

초등학생에게서 나타나는 진행성 근시

2024년 8월 26일

초등학교 입학은 모든 어린이에게 새로운 도전이자 흥미로운 여정입니다. 또한, 이 시기는 어린이의 전반적인 발달에서 중요한 단계이며, 좋은 시력은 이러한 발달을 뒷받침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나라별로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의 어린이는 초등학교 입학을 준비하면서 건강 검진을 받습니다. 여기에는 보통 어린이의 시력 검사도 포함됩니다. 이 검사에서 이상이 발견되면 안과 전문의와 상담하라는 권유를 받을 수 있습니다. 전문가는 어린이의 눈과 시력을 더 자세히 검사하고 근시로 진단되면 부모와 함께 어린이가 안경과 같은 시력 교정이 필요한지 결정하게 됩니다.

  • 안경을 낀 소녀가 펜으로 뭔가를 쓰고 있는 모습

근시는 조기 발견이 중요하므로 가능한 한 빨리 진단받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어린이가 시력 이상 증상을 보인다면, 초등학교 입학 전이라도 안경사나 안과 전문의와 상담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근시에 대한 조치는 조기에 취할수록 효과적입니다.

진행성 근시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악화되는 근시의 특수한 형태를 의미합니다. 특히, 적절한 조치를 통해 근시 진행을 늦추거나 멈추는 것은 고도 근시를 예방하는 데 핵심적입니다. 이는 어린이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눈 건강 문제(예: 망막 박리, 녹내장 등)의 발생 위험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근시의 정의

안경을 낀 소년이 돋보기를 사용하고 있는 모습
안경을 낀 소년이 돋보기를 사용하고 있는 모습

기본적으로 근시는 눈으로 들어오는 빛이 망막 앞에 초점이 맺히는 시각 장애의 한 형태입니다. 교정되지 않은 눈으로 먼 곳을 바라보면, 조절이 약해져 망막에 맺힌 상이 흐릿하게 보입니다. 이러한 광학적 결함은 보통 안구가 길어지면서 발생합니다. 일반적으로 근시는 초등학생 어린이에게 처음 발생하며, 반드시 고도 근시로 이어지지는 않습니다.

  • 고도 근시는 -5디옵터에서 시작합니다(정의에 따라 다름).
  • 진행성 근시(특수한 형태의 근시)는 시간이 갈수록 악화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눈의 길이는 수년에 걸쳐 계속 자라며, 예를 들어 -12디옵터에 이를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건강 문제 외에도 일상 생활에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이 경우, 눈에서 불과 8cm 떨어진 지점까지만 선명하게 볼 수 있으며 더 이상 시력 교정 없이 평범한 일상 생활을 하는 것이 불가능해집니다.
  • 병적 근시는 안저의 합병증(예: 망막 박리 - 아래 참조)과 같은 병리적 징후가 특징입니다. 병적 근시는 고도 근시가 있는 눈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더 높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닙니다. 11
     

특정 조치를 취하면 근시의 진행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안과 전문의가 근시 관리 치료를 할 때의 목표는 어린이를 심한 근시 진행과 그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장기적인 눈 건강 문제로부터 보호하는 것입니다. 건강한 생활 방식도 큰 도움이 됩니다. 연구에 따르면, 하루 최소 2시간 이상 야외에서 시간을 보내고 근거리 작업을 줄이는 것이 어린이의 시력 발달에 좋다고 합니다.1

청소년기 눈 발달

신생아는 보통 원시입니다.2 나이가 들면서 눈이 길어지고 수정체의 조절 능력이 발달하여 10세 정도에 정상적인 시력 상태(정시)에 도달합니다.3 이러한 자연적인 과정을 정시화라고 합니다.

또한 시력은 시간이 갈수록 발달합니다. 신생아의 시력은 아직 선명하지 않지만, 시력이 빠르게 개선되며 6~10세 사이에 좋아집니다.5 즉, 어린이가 학교에 입학하고 시력이 정상적으로 발달하면, 정상 시력을 가진 성인과 유사한 시력을 가지게 됩니다. 어린이가 정시가 되면(정상적인 시력을 가지면) 가까운 거리와 먼 거리의 물체를 선명하게 보며 초점을 정확하게 맞출 수 있게 됩니다. 이 발달은 읽기, 쓰기, 세상과의 상호작용과 연결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합니다. 또한 공간 인식 능력은 초등학생 시기에 계속 발달하며, 어린이는 물체 간의 깊이와 거리를 가늠하는 방법을 배우게 됩니다. 이는 스포츠 활동이나 자전거를 타거나 혹은 공원에서 놀 때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깊이 감각이 발달된 어린이는 자신이 있는 곳에서 자신 있게 움직일 수 있으며 동시에 운동 능력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근시 예방 및 인식

어린이의 초기 발달 단계에서 시력에 이상이 있는 경우 그 증상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눈을 자주 찡그리거나 두통을 겪거나 읽고 쓰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면 시력 문제의 징후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이 걱정된다면 부모님은 어린이가 전문가에게 시력 검사를 받도록 해야 합니다.

시력 교정이 필요한 경우 어린이의 학교 및 사회 생활에 큰 변화가 생길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어린이는 시력 문제를 숨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학업 성취도와 전반적인 삶의 질은 좋은 시력에 크게 좌우됩니다.6

예방법: 어린이를 밖으로 나가게 하고 스마트폰을 멀리하게 하세요

전문가들은 어린이의 근시 예방을 위해 스마트폰, 태블릿, 또는 지속적인 근거리 시각 활동에 소비하는 시간을 줄이라고 권장합니다.

어린이는 정기적으로 휴식을 취하고 야외 활동을 해야 합니다. 연구에 따르면, 야외에서 많은 시간을 보낼수록 근시 발생 위험이 감소하고, 이미 근시가 있는 경우에도 진행 속도가 느려진다고 합니다.7

따라서 전문가들은 어린이의 나이에 관계없이 매일 최소 2시간씩 야외에서 햇빛을 받으며 시간을 보낼 것을 권장합니다.

그러나 7세 이전에 근시의 첫 징후가 나타날 경우, 고도 근시로 발전할 위험이 높다는 점을 인지해야 합니다.8 여러 연구를 바탕으로 한 자이스 근시 관리 가이드에서는 어린이가 6세에 원거리 굴절력이 +0.75디옵터보다 크거나, 7~10세 사이의 원거리 굴절력이 +0.5디옵터보다 크면, 안구의 길이를 정상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만약 해당 값이 이보다 낮거나 마이너스 범위에 있다면, 어린이는 근시를 겪고 있을 위험이 있습니다.9

  • 안경을 낀 소년이 야외에서 웃으면서 자전거를 타고 있는 모습
  • 안경을 낀 어린이들이 야외에서 돋보기를 가지고 놀며 웃고 있는 모습
  • 소년이 자이스 IOLMaster 500으로 눈 검사를 받고 있는 모습

개요

근시는 예방이 중요

✔ 하루에 2시간 이상 자연광을 받으며 야외에서 시간을 보냅니다.10

✔ 읽기나 화면 보기 같은 근거리 작업을 줄이고, 중간에 충분한 휴식을 취하며, 야외에서 활동하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 근시 위험이 큰 어린이는 최소 연 1회 시력 검진을 받아야 합니다.

 

초등학생 근시 관리

초등학생이 근시 증상을 보일 경우, 가능한 한 빨리 이를 알아차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시력 검사는 매우 중요하며, 선생님과 부모님은 수업 중이나 숙제를 할 때 어린이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 세심하게 관찰해야 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정기적인 검사와 테스트를 통해 근시가 정상 범위 내에서 진행되는지, 아니면 빠르게 진행되는 진행성 근시인지 판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진행성 근시로 진단되면 어린이는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어린이와 청소년의 근시 진행을 늦추는 방법으로는 치료용 점안액, 기능성 콘택트렌즈(어린이 나이에 따라 적합하지 않을 수 있음), 그리고 어린이의 눈 길이 성장을 늦출 수 있는 기능성 안경 렌즈 등이 있습니다.

자이스 파트너 안경원 찾기.

정기적인 시력 검사를 받아 보세요

자이스 파트너 안경원 찾기를 이용해 주변 지역의 파트너 안경원을 찾으세요. 지금 바로 예약해보세요!

어린이 근시 관리를 위한 자이스의 안경 렌즈

자이스 마이오케어 포트폴리오는 근시 관리를 위해 특수 설계된 두 가지 렌즈를 제공합니다. 이 렌즈는 눈 길이의 성장을 늦추는 데 도움이 됩니다. 특수 미세 구조를 갖춘 렌즈 기능 영역이 근시성 탈초점화를 일으켜, 망막의 선명한 상 외에도 망막 앞쪽에 추가적인 상을 생성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 눈 길이의 성장을 늦추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렌즈의 중앙에는 어린이의 굴절 이상을 교정하고 선명한 원거리 시야를 보여주는 영역이 있습니다. 중앙의 선명한 영역 주변에는 눈에 거의 보이지 않는 링 모양의 표면이 존재하며, 이 표면은 미세 구조로 이루어져 교정 효과만 있는 영역과 번갈아 나타납니다.

초등학생에게 이러한 안경 렌즈는 장기적으로 삶의 질과 건강에 두 가지 이점을 제공합니다. 첫째, 다른 렌즈와 마찬가지로 굴절 이상을 교정하여 어린이가 모든 거리를 선명하게 볼 수 있게 하고, 학교 활동에 온전히 참여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둘째, 근시 진행을 늦추어 근시로 인한 제한과 그로 인한 장기적인 눈 건강 문제 발생 위험을 줄입니다.

결론적으로, 진행성 근시는 초등학생 때부터 전문적인 치료와 관리가 중요합니다. 이러한 치료는 어린이의 전반적인 삶의 질을 향상시킵니다.
 


이 페이지를 공유하세요


  • 1

    Xiong S, Sankaridurg P, Naduvilath T, Zang J, Zou H, Zhu J, Lv M, He X, Xu X. Time spent in outdoor activities in relation to myopia prevention and control: a meta-analysis and systematic review. Acta Ophthalmol. 2017 Sep;95(6):551-566.

  • 2

    Sankaridurg P, Tahhan N, Kandel H, et al. IMI Impact of myopia. Invest Ophthalmol Vis Sci. 2021;62(5):2. https://doi.org/10.1167/iovs.62.5.2

  • 3

    Mutti, D. O., Mitchell, G. L., Jones, L. A., Friedman, N. E., Frane, S. L., Lin, W. K., ... & Zadnik, K. (2005). Axial growth and changes in lenticular and corneal power during emmetropization in infants. Investigative ophthalmology & visual science, 46(9), 3074-3080.

  • 4

    Flitcroft, D. I. (2014). Emmetropisation and the aetiology of refractive errors. Eye, 28(2), 169-179.

  • 5

    Zadnik, K., Manny, R. E., Yu, J. A., Mitchell, G. L., Cotter, S. A., Quiralte, J. C., & Mutti, D. O. (2003). Ocular component data in schoolchildren as a function of age and gender. Optometry and Vision Science, 80(3), 226-236.

  • 6

    Leat S. J., Yadav, N. K., & Irving, E. L. (2009). Development of visual acuity and contrast sensitivity in children. Journal of optometry, 2(1), 19-26

  • 7

    Xiong S, Sankaridurg P, Naduvilath T, Zang J, Zou H, Zhu J, Lv M, He X, Xu X. Zeit in Outdoor-Aktivitäten im Zusammenhang mit der Prävention und Kontrolle von Myopie: eine Metaanalyse und systematische Überprüfung. Acta Ophthalmol. 2017;95(6):551-566. doi: 10.1111/aos.13403.

  • 8

    Rudnicka AR, Kapetanakis VV, Wathern AK, et al. Globale Variationen und zeitliche Trends in der Verbreitung von Myopie bei Kindern: Eine systematische Überprüfung und quantitative Metaanalyse: Implikationen für die Ätiologie und frühe Prävention. Br J Ophthalmol. 2016; 100: 882–890.

  • 9

    MI-Clinical-Myopia-Management-Guidelines_FINAL_German_MJ.pdf (myopiainstitute.org)

  • 10

    Jong M. Should We Be Identifying and Managing Pre-Myopia? Review of Myopia Management. February 1, 2021. Accessed October 18, 2022. Reviewofmm.com/should-we-be-identifying-and-managing-pre-myopia.

  • 11

    Kyoko Ohno-Matsui, Pei-Chang Wu, Kenji Yamashiro, Kritchai Vutipongsatorn, Yuxin Fang, Chui Ming Gemmy Cheung, Timothy Y. Y. Lai, Yasushi Ikuno, Salomon Yves Cohen, Alain Gaudric, Jost B. Jonas; IMI Pathologic Myopia. Invest. Ophthalmol. Vis. Sci. 2021;62(5):5. doi: https://doi.org/10.1167/iovs.62.5.5.